본문 바로가기
전국여행투어

네번째 전국여행 강진편(위치,명소,역사,즐길거리,코스)

by 여행을떠나요 2022. 11. 14.
반응형

1. 위치

2. 볼거리

1) 무위사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명 무위사로 308

무위사사적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39년(서기 617) 원효대사에 의해 당초 관음사로 창건되었다고 하나 명확한 근거는 없다고 합니다. 다만 신라시대부터 무위갑사란 이름으로 불려 왔던 사실은 경내에 현존하고 있는 선각대사편광탑비명에 의해 알려지고 있습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은 네번째 중건인 서기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극락전 만은 최근(1956년경)에 실시된 보수공사에서 보존 후벽의 벽화 명문에 "십이 병신삼월초길 화성"이란 기록이 판독됨으로써 성화 12년(서기 1476년)보다 앞서는 건물일 것으로 막연하게 추정해왔습니다.

그러나 1983년 옥개부 이상을 해체 보수할 때 중앙간 종도리 장혀에서 "선덕오년"이란 묵서명이 발견됨으로써 이 건물이 세종 12년(1430)에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건물 내부에는 전혀 기둥이 없는 널찍한 공간을 이뤘고 내부 벽에는 여러 보살 및 천인상을 그린 벽화가 있는데 당대 인물화가인 오도자의 신필이라고 전해 오고 있습니다.

 

현재 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중 가장 오래된 것은 극락보전(국보 제13호)으로, 우리나라 조선시대불교 건축물 중에서도 초기 형태에 속합니다. 눈여겨 볼 것은 맞배지붕과 주포심 양식으로 지어진 극락보전의 단아하면서도 소박한 건축미입니다. 특히 극락보전 측면의 기둥과 보가 만나 이루는 공간 분할의 절제된 아름다움도 놓쳐서는 안될 감상 포인트입니다.

 

2) 백운동원림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선중기 처사 이담로(聃老, 1627~1701)가 들어와 계곡 옆 바위에 ‘백운동(白雲洞)’이라 새기고 조영(造營)한 원림으로,자연과 인공이 적절히 배합된 배치와 짜임새 있는 구성을 이루며 우리 전통 원림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별서입니다.

백운동이란 ‘월출산에서 흘러 내린 물이 다시 안개가 되어 구름으로 올라가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약사암과 백운암이 있었던 곳으로 전해집니다.

 

3) 오감통

강진군 강진읍 오감길 2

음악인들의 사랑방이자 놀이터인 음악창작소, 공연과 영화가 펼쳐지는 푸르른 잔디광장, 강진의 맛을 한 곳에모은 먹거리장터, 백년 간 강진한정식의 전통을 이어온 한정식체험관 등이 마련되어있습니다.

 

강진오감통에는 몸을 들썩이는 화려한 공연, 눈과 입이 즐거운 산해진미, 특별한 재미가 넘치는 체험거리, 지친 ㅣㅇㄹ상을 달래는 힐링여행, 건강한 식탁을만드는 친환경 로컬푸드가 있습니다. 

 

4) 가우도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신기리

가우도에 정상에 25m높이로 조성된 청자타워에서는 강진만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하늘을 날아 활강하는 짚트랙(공중하강체험시설)은 짜릿한 스릴을 만끽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름의 유래는 강진읍 보은산이 소의 머리에 해당되고,

의 생김새가 소(牛)의 멍에에 해당 된다하여 '가우도(駕牛島)'라고 부르게 되었다.

 

5) 하멜기념관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80

하멜기념관은 우리나라를 서양에 최초로 알린『하멜보고서』의 저자 헨드릭 하멜(Hendric Hamel)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고, 강진과 네덜란드 호르큼 시와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를 위해 개관하였습니다.

타원형의 목조건축으로 지어진 왼쪽의 전시관은 하멜이 표착한 남도의 섬을 상징하며, 오른쪽 각진 형태의 건물은 망망대해에 표류한 조난선 스페르베르(Sperwer)호를 상징합니다.
전시실은 『하멜보고서』를 비롯하여 하멜의 생애, 17세기 조선과 네덜란드의 사회·문화·역사적 상황, 그리고 강진군과 네덜란드 호르큼 시의 자매결연 등 각 주제별로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져있습니다.
하멜기념관은 1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 중 70여 점의 유물을 상설 전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멜의 조선 표착의 역사적 의미 및 17세기 국제 교류사의 조사연구, 유물 전시를 통한 교육, 나아가 한국·네덜란드 간의 문화적 교류 증대를 위해 지역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6) 고려청자 박물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3

고려청자박물관은 강진 청자요지와 고려청자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ㆍ계승하기 위해 1997년 개관하였으며, 다양한 전시ㆍ교육 프로그램으로 고려청자 연구의 메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강진의 청자가마터는 우리나라 고려시대 도자기 역사를 대표할 만큼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높은 곳입니다.

고려시대 500여년 동안 지속적으로 청자를 만들었으며, 그 생산품은 왕실과 귀족, 사찰 등지에 사용되었습니다.

2007년 태안 죽도 해저발굴에서는 탐진(강진의 고려시대 지명)이 쓰여 있는 목간이 발견되어 2만3천여 점의 고려청자의 생산지가 강진임을 증명해 주었습니다.

 

7) 한국민화뮤지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61-5

 

한국민화뮤지엄은 국내 최대 규모 민화 전문박물관으로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생활민화전시실, 춘화전시실의 4개 전시실과 민화체험장,4D가상체험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실생활에서 사용가능한 민화리빙아트체험을 개별 또는 단체로 상시 즐길 수 있습니다.

 

3. 축제

  • 강진금곡사벚꽃 삼십리길 축제 
  • 전라 병영성 축제
  • 강진청자축제
  • 강진만춤추는갈대축제

축제마다 하는 날짜랑 즐길 수 있는 포인트가 다르니까 알아보고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재)강진군문화관광재단 (gangjin.or.kr)

 

(재)강진군문화관광재단

무위사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관광지 정보 바로가기 백운동원림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관광지 정보 바로가기 강진다원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백운로93-25 관

www.gangjin.or.kr

 

출처:강진군문화관광

 

반응형